Wireless LAN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1. 개요
- 802.11은 경로 공유를 위해 모두 이더넷 프로토콜인 CSMA/CA를 사용
- 데이터의 흐름을 감지하여 네트워크가 사용 중이 아니면 바로 패킷을 보내지 않고,
예비 신호를 먼저 보내 데이터 전송 중 패킷 충돌(Collision)을 피하는 방법
2. 장단점
- 장점 : 보내려는 데이터 이전에 예비 신호를 보내 충돌을 피하므로 충돌이 없음
- 단점 : 네이트워크의 사용빈도가 많아져 네트워크가 복잡해지면 충돌방지의 신호가 흐르는 속도가 매우 느려짐
데이터의 전송이 많이 지연 됨.
3. 동작
- Station(SRC)이 AP에게 RTS패킷을 전송한다. 이에 대해 AP는 CTS패킷을 전송한다. 그 이후에 Station(SRC)은 Data를 전송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AP는 ACK패킷으로 응답을 보낸다.
통신과정 1. Station(SRC)이 AP(dst)에게 RTS(Request To Send)패킷 전송, RTS패킷에 ACK까지의 타이머값(NAV) 전송 2. AP는 CTS(Clear To Send)로 응답한다. CTS패킷에도 타이머 값(NAV)가 있지만 값은 감소되었다. 다른 연결되어 있는 Station에게도 통신하지 말라고 CTS를 날리고 CTS안에 NAV값 만큼 다른 Station은 통신을 하지 못한다. 3. 데이터 전송 4. ACK 전송(무선은 불안전하기 때문에 ACK를 꼭 받는다.) ACK를 받지 못했다면 계속해서 AP는 재전송을 하게 된다. |
4. 용어 설명
- Station(SRC) :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류
- AP : 무선 공유기
- RTS : Request To Send 약자로 통신 상태를 물어보는 질문신호
- CTS : Clear To Send 약자로 통신 상태가 양호하다는 응답신호. AP는 CTS 신호를 Broadcast로 모든 Station에 보낸다.
'IT 연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view3 (0) | 2013.09.17 |
---|---|
listview layout xml (0) | 2013.09.17 |
WifiConfiguration (0) | 2013.08.24 |
WifiManager 메소드 (1) | 2013.08.23 |
안드로이드에서 이미지/버튼 드래그하기 (0) | 2013.08.10 |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1) | 2013.06.17 |
ALOHA protocal (0) | 2013.06.17 |
암호화 요소 (0) | 2013.05.08 |
암호화 요소 (0) | 2013.05.06 |
JAVA 예약어 종류 (0) | 201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