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Kanban 적시 개발을 지원하는, Kanban 방법론의 개요 Kanban 방법론의 정의 Agile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적시개발(Just In Development)를 지원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규칙을 가지고 있는 방법론 Workflow를 표현하는 Kanban 보드를 통하여 개발공정을 시각화 하고 작업제한 및 소요시간 최적화 기법을 통해 적시 개발 지원 Kanban 방법론의 특징 특징 설명 가시화 무엇을 하고 잇는지 가시적으로 파악 가능 장애물 인지 장애물을 즉각 인지할 수 있고 그것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 진행 의사소통 팀원 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증가 프로세스 프로젝트의 방향 제시 Kanban 방법론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 Kanban 방법론의 개념도 Kanban Board를 통한 개발공정과 작업 진척도 가시화 Kanb.. 더보기
폭포수(waterfall) 모델 고전적 라이프 사이클 개발 패러다임, 폭포수(waterfall) 모델의 개요 폭포수(waterfall) 모델의 정의 고전적 라이프 사이클 개발 패러다임(Classic Life-Cycle Paradigm)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구현, 시험 및 유지보수 과정을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폭포수 모델의 특징 개념 정립에서 구현까지 하향식 접근 방식을 사용, 단계별 관리 용이 목표 시스템이 과정의 후반부에 구체화 되어, 중요한 이슈 사항이 후반부에서 많이 발견 기술적 위험이 낮고, 유사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경우 사용(Analogs Estimation) 요구사항이 명확한 모델, Phase Testing, 고정된 산출물 폭포수 모델의 장단점 장점 단점 - 가장 오래되고 폭넓게 사용(사례풍부) - 전체 과정이.. 더보기
SDLC SDLC의 정의 - 소프트웨어의 SDLC는 타당성 분석부터 개발/유지보수/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모델화 구분 설명 표준화된 방법/절차 제공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표준화된 절차 및 방법 제공 체계적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SDLC모델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젝트의 체계적 관리 가능 소프트웨어를 개발을 위한 표준화된 수행 방법과 절차 제공 프로젝트의 유형, 관점, 표준정책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SDLC 모델 존재 개발 진행 단계를 명확하게 파악 및 프로젝트 관리 지원 프로젝트 비용 산정, 프로젝트 개발 계획의 수립 / 프로젝트 공정 관리 대상을 명확히 구분 SW 대규모화, SW 위기에 대한 획기적인 대처 해법이 필요 효과.. 더보기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조질될 수 있도록 하는, 즉 논리적 데이터 구조로 변화되는 과정. 개념 세계가 컴퓨터가 아해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물리적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정보 구조에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지원하는 모델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1.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2. 현실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한 표현하는 과정 3.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 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능 - 시스템을 가시화하도록 도움 - 시스템의 구조와 행동을 명세화 할 수 있음 -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조화된 틀 제공 -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결정한 것을 문서화 - 다양한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다른 영역의 세부 사항은 숨기.. 더보기
HCE(Host Card Emulation) '보안요소'(SE, Secure Element)를 사용하지 않는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으로, 안드로이드 4.4 버전부터 지원되었다. 클라우드에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방식을 말한다.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인 킷캣과 블랙베리10에서 지원한다. 마그네틱 띠에 저장된 카드 정보를 스마트폰이 아닌 클라우드에 보관한다. 스마트폰에 깔린 모바일 앱이 결제 때마다 접속해 정보를 가져온 후 근거리무선통신(NFC)으로 결제한다. 스마트폰에는 어떤 카드 정보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해도 신용카드 정보가 유출되거나 부정 사용될 가능성이 낮다. HCE 기술을 활용하면 은행과 인터넷 쇼핑몰은 소비자가 어떤 통신사를 쓰든지 상관없이 안드로이드 앱에 모바일 결제 기능을 넣을 수 있다. HCE는.. 더보기
망중립성(network neutrality) 출처 및 참고 : http://hibssaki.blogspot.kr/2013/03/blog-post.html 더보기
토르(Tor) 네트워크 토르(Tor)는 온라인 상에서의 익명을 보장하고 검열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자유 소프트웨어로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최초로 시작하여 현재는 EFF 프로젝트에서 관리되고 있다. EFF는 2005년 11월까지 Tor를 재정적으로 지원하였고, 현재도 웹 호스팅을 지원하고 있다. 토르는 트래픽 분석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양파 라우터를 거쳐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나가는 연결이 익명으로 처리되며, 숨겨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토르(TOR, The Onion Routing)는 네트워크 노드를 거칠 때마다 마치 양파처럼 데이터를 계속 암호화해 전송하는 기술이다. 트래픽 추적을 불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상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시작해 현재는 전자프런티어재단(EFF)에서 관리하는 무.. 더보기
FIDO(Fast Identity Online) 삼성전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200여개 글로벌 기업들은 FIDO 연합체를 꾸리고 온라인 환경에서도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는 ‘국제 인증 기술 표준 FIDO 1.0’을 2014년 12월 발표했다. FIDO(Fast Identity Online)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조합 대신 지문, 홍채, 얼굴 인식, 목소리, 정맥 등을 활용한 새로운 인증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생체 정보를 활용한다. 기존 생체 인증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증 프로토콜과 인증수단을 분리해 보안과 편리성을 챙겼다. FIDO 표준은 2가지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있다. 첫 번째는 UAF(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프로토콜로, 사용자 기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