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공학의 탄생은 바로 소프트웨어의 위기에서 부터 출발한다.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의 비용은 하드웨어의 비용을 넘어서지 않았지만
최근 소프트웨어의 비용이 하드웨어의 비용을 뛰어 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으로 발전 된 IT산업이
소프트웨어로 그 중심 축이 이동되었다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복잡도 증가와 그로 인한 비용 증대 그리고 일정 지연 등의 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소프트웨어 + 공학 의 개념이다.
소휘 소프트웨어공학에는 공학적인 관점에 경영학, 경제학 등 비전산 분야 학문의 가세로
간학문적 체계를 갖추어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생성에 박차를 가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다뤄지는 많은 요소들이 현장에 투영되어 프로젝특 진행되며,
이러한 현상은 프로젝트 내의 개발 진척율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 증대를 가져온다.
소프트웨어공학은
SDLC(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라는 생명주기를 설명하고 있으며
SDLC는 소프트웨어 생성부터 소멸까지를 다루고 있다.
ITO 대상 선정 , RFI 요청서, RFP 요청서, 제안서 작성/평가, SLA, 프로젝트 계획서, 프로젝트 수행, 검수, 유지보수 교육, 유지보수 등의 절차로
소명을 제외한 생명주기가 이루어진다.
ITO 대상 선정은 핵심 역량을 제외한 분야의 IT 관련한 부분을 비교우위에 있는 다른 개발 및 관련 전산 업체에 외주의 형태로 업부를 분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핵심 역량에 더욱더 집중 할 수 있으며, 더욱더 잘 할 수 있는 분야, 더욱더 중요한 분야에 집중 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RFI 요청서는 각 외주사(개발 및 기타 관련 업체)에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
보통 생략 할 수 있는 단계이며, 사실상 RFI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RFP 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이기에
바로 RFP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다.
RFP 단계에서는 발주사의 과제가 담겨져 있으며
RFP 를 수신한 여러 외주사들은 발주사 과제(이슈) 해결에 대한 방안과 인력 , 소요 예산, 기술 등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제안서 작성/평가를 걸쳐
고객과 세부사항 협의를 진행하는 SLA,
본격 개발에 앞써서 개발팀에서 작성하는 프로젝트 계획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는 프로젝트 수행,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발주사가 최종 확인하는 검수,
인수인계를 위한 SM 에게 유지보수 교육 등의 절차로 소프트웨어의 소명을 제외한 소프투웨어 공학에서 SDLC를 설명하고 있다.
'IT 연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네트워크 설정 파일 (0) | 2016.02.13 |
---|---|
[정보보안] 스시템 위험성에 따른 log 단계 (0) | 2016.02.10 |
[정보보안] 포트별 취약성 권고안 (0) | 2016.02.10 |
이클립스 단축키 모음 (0) | 2015.12.29 |
아두이노 교육 : 멀티캠퍼스 (0) | 2015.12.12 |
ISO 7계층 (0) | 2015.06.20 |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리피터, 허브 개요 (0) | 2015.06.20 |
IPv4 의 class 구역 및 주소 할당 범위 (2) | 2015.06.20 |
Oracle Error Code (0) | 2015.01.20 |
오라클오류코드로 SQLException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