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의 중요 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의 일종이다. 2016년 미국국가안보국(NSA)이 도난당한 해킹툴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2017년 5월 12일에 배포되기 시작해 순식간에 전세계 100여개국으로 확산되는 등역사상 전례가 없는 최악의 해킹으로 간주되고 있다. 워너크라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파고들어 중요 파일을 암호화한 뒤 파일을 복구하는 조건으로 300∼600달러(한화 34만∼68만원)에 해당하는 비트코인(가상화폐)을 요구하고 있다.
*전파 경로 및 배후
워너크라이는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만 해도 감염된다. 윈도 파일 공유에 사용되는 서버 메시지 블록(SMB) 원격코드의 취약점을 악용해 네트워크를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취약한 컴퓨터는 부팅 때 감염될 수 있다. 이는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대다수 랜섬웨어와 다른 것이다. SMB(Server Message Block)는 파일·장치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SMB 포트 차단 실행 방법은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 ▲윈도 방화벽→고급설정 ▲인바운드 규칙→새규칙→포트→다음 ▲특정 로컬 포트→137-139, 445 입력→다음 ▲연결차단→다음 ▲도메인, 개인, 공용 체크 확인→다음 ▲이름설정→마침 순으로 실시하면 된다.
반응형
'IT 연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중립성(network neutrality) (0) | 2017.08.14 |
---|---|
토르(Tor) 네트워크 (0) | 2017.08.14 |
FIDO(Fast Identity Online) (0) | 2017.08.14 |
시도응답(challenge-response) (0) | 2017.08.14 |
크라임웨어 [Crimeware] (0) | 2017.08.14 |
OWASP Top10 2017 (0) | 2017.08.08 |
양자암호통신(Quantum) (1) | 2017.08.07 |
Fog Computing (0) | 2017.07.30 |
Decision Tree (1) | 2017.07.05 |
SLA(Service Level Agreement) (0) | 201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