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연구회

owasp 2013

반응형

owasp 2013

 

 

 

 injection 

 인적션 하는것

 broken authentication and session management

인증과 세션관리와 관련된 어플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해 패스워드, 키, 세션토큰 및 사용자도용과 같은 취약점 발생

 xss(cross-site script)

 신뢰할 수 없는 외부 값을 적절한 검증 없이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취약점, 세션 가로채기, 홈페이지 변조, 악의적인 사이트 이동 등의 공격을 수행

 insecure direct object reference

 파일,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키와 같은 내부적으로 처리되는 오브젝트가 노출되는 경우, 다운로드 취약점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 파일에 접근하는 취약점 등을 의미

 secure misconfiguration

 어플, 프레임워크, 서버, db서버, 플랫폼 등에 보안 설정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최적화된 값으로 유지하며 또한 소프트웨어는 최신의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sensitive data exposure

 민감정보- 카드번호, 개인정보를 적절하게 보호 하고 있지 않아...생기는 취약점

 missing function level access control

 기능접근제한권한을 검증해야 하나, 어플리케이션은 각 기능에 대한 접근 시 동일한 접근 통제 검사 수해이 요구, 만일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ㅇ는 경우 공격자는 비인가된 기능에 접근하기 위해, 정상적인 요청을 변조할 수 있다.

 cross site request forgery(CSRF)

 로그온된 피해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세션쿠키 및 기타 다른 인증정보가 포함된 변조된 http 요청을 전송시켜, 정상적인 요청처럼 보이게 하는 기법으로 물품구매, 사이트 글 변조 등의 악의적인 행동을 하는 취약점을 의미

 using known bunerable components

 슈퍼유저권한으로 운영되는 취약한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및 기타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인해 데이터 유실 및 서버 권한획득과 같은 취약성이 존재

 unvalidated redirects and forwards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를 다른 페이지로 분기 시키는 경우, 이동되는 목적지에 대한 검증부재 시, 피싱 악성코드 사이트 등의 접속 및 인가되지 않는 페이지 접근 등의 문제점을 일이킬 수 있다.

 

aibxi ssm cuu

 

 

반응형

'IT 연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OWASP Top10 2017  (0) 2017.08.08
양자암호통신(Quantum)  (1) 2017.08.07
Fog Computing  (0) 2017.07.30
Decision Tree  (1) 2017.07.05
SLA(Service Level Agreement)  (0) 2017.07.04
AAA  (0) 2016.10.28
[파일 타입] jmimemagic을 활용한 파일 타입 구분  (0) 2016.05.06
[네트워크] 네트워크 설정 파일  (0) 2016.02.13
[정보보안] 스시템 위험성에 따른 log 단계  (0) 2016.02.10
[정보보안] 포트별 취약성 권고안  (0) 2016.02.10